속옷을 입고 앉아 있는 여성의 뒷모습

 Egon Schiele's Seated Woman in Underwear (Back View) (1917) reveals his focus on the female form, artistic distortion, and intricate detail. The work exemplifies Schiele's evolving style during wartime scarcity.



속옷을 입고 앉아 있는 여성의 뒷모습

1917, 구아슈, 수채 물감, 연필, 45.7×29.4cm, 세르주 사바스키 컬렉션, 뉴욕 노이에 갤러리

에곤 실레의 <속옷을 입고 앉아 있는 여성의 뒷모습>은 여성의 몸을 예술적 관점에서 탐구한 작품입니다. 실레는 모델의 뒷모습을 과장과 왜곡을 통해 표현했으며, 그 과정에서 여성의 몸에 대한 그의 관찰력과 기법을 극대화했습니다.


1. 미적 왜곡과 시점의 활용

이 작품은 실레의 독창적인 미적 왜곡비현실적 시점이 잘 드러납니다.

  • 조감도 시점: 실레는 낮은 각도에서 모델을 바라보며 뒷모습을 길게 그렸습니다. 이 시점은 관객에게 왜곡된 현실감과 불안한 느낌을 줍니다.

  • 팔과 손의 과장: 왼손으로 이어지는 팔의 길이는 비현실적으로 길게 표현되어 신체의 기이한 비율을 강조합니다.

  • 불균형의 구조: 어깨는 넓고 엉덩이는 가늘게 그려져 불균형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구도는 예술적 긴장감을 유도합니다.

실레는 이러한 왜곡을 통해 단순한 인체 표현을 넘어 몸의 형태와 관능성을 재해석했습니다.


2. 디테일과 색감: 속옷의 질감 표현

이 그림에서 실레는 디테일과 색감을 통해 속옷의 섬세한 질감을 표현했습니다.

  • 반투명한 효과: 실레는 '유사 흰색(pseudo-white)'과 잉크를 활용해 속옷의 실크 같은 질감을 묘사했습니다.

  • 윤곽선의 강조: 굵고 선명한 윤곽선은 속옷과 신체의 형태를 강조하면서도, 모델의 몸을 예술적 대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 색상의 절제: 실레는 채도가 낮은 색상과 최소한의 디테일로 모델의 뒷모습에 집중하게 했습니다. 이는 모델의 신체와 속옷의 대비를 더욱 두드러지게 만듭니다.

실레의 초점은 개별적인 인물의 정체성이 아닌, 여성의 몸과 디테일한 질감의 예술적 표현에 있었습니다.


속옷을 입고 앉아 있는 여성의 뒷모습


3. 전쟁과 예술: 재료의 한계 속에서 탄생한 작품

이 작품은 1917년,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시기에 제작되었습니다.

  • 재료의 부족: 전쟁 중 실레는 종이를 포함한 재료 공급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여성 습작을 포함해 약 150여 점의 작품을 완성했습니다.

  • 새로운 모델과 다양성: 이 시기 실레는 재정적 안정 속에서 새로운 모델을 찾아 다양한 신체를 연구했습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은 실레의 아내 에디트일 가능성이 있지만, 그녀의 여동생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 작업 방식: 실레는 모델에게 특정한 포즈를 요구한 후, 여러 각도에서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작품의 모델 역시 다른 그림인 <속옷과 검은색 스타킹을 입은 여성의 상반신>에 등장하는 앞모습과 연결됩니다.

실레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의 몸을 다양한 시각에서 탐구하며 예술적 경계를 넓혀갔습니다.


4. 여성 모델과 예술적 접근

실레의 여성 스케치는 개별 모델의 정체성보다 예술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갖습니다.

  • 익명성의 강조: 대부분의 모델은 얼굴이 뚜렷하지 않거나 뒷모습만 그려져 있어 개별화가 배제되었습니다.

  • 여성의 다양성: 실레는 여성의 몸을 예술적 다양성과 형식미를 탐구하는 대상으로 삼았으며, 때로는 과장되고 긴장된 포즈를 요구했습니다.

  • 감정의 배제: 이 작품에서 여성 모델은 신체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형식적 도구로 그려졌으며, 개별적 감정이나 인격은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는 실레의 예술이 관능과 형식적 탐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에곤 실레의 <속옷을 입고 앉아 있는 여성의 뒷모습>은 여성의 몸을 예술적 대상으로 탐구한 작품입니다. 실레는 왜곡된 비율과 섬세한 질감 표현을 통해 신체의 형식적 아름다움을 극대화했습니다. 또한 전쟁 중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며, 새로운 모델을 통해 예술적 다양성을 확장했습니다. 이 작품은 실레의 예술적 시도와 관찰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키워드: 에곤 실레, 속옷을 입은 여성, 1917년 작품, 여성의 뒷모습, 세르주 사바스키 컬렉션, 뉴욕 노이에 갤러리, 예술적 왜곡, 형식적 탐구, 전쟁과 예술, 관능적 표현, 윤곽선 강조

댓글 쓰기